Deutsche Lernen 독일어 공부/die Grammatik 독일어 문법

5) 접속사와 전치사

프로 리스너 2024. 10. 3. 03:51
728x90

접속사는 문장을 이어줄 때 사용되는 장치이다. 

접속사 문장의 배열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진다.

1. 정치 접속사 (Hauptsatzkonjunktionen)

정치 접속사는 두 개의 주절(독립된 문장)을 연결할 때 사용하며,
문장의 어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SVO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유지한다.

 

und 그리고
aber 그러나
oder 또는
denn 왜냐하면
sondern 대신에
doch 하지만
beziehungsweise 또는, 혹은
jedoch 그러나
dennoch 그럼에도 불구하고
außer 아니면
bloß 다만

 

2. 후치 접속사 (Nebensatzkonjunktionen)

후치 접속사는 주절과 종속절을 연결하며, 종속절의 동사는 항상 문장의 끝으로 이동한다.

weil / da 때문에
dass 라는 것
so A dass B / .., sodass B A해서 B하게 되었다
wenn / als 할 때, 만약 / 할 때 (과거)
ob 인지 아닌지
obwohl 에도 불구하고
damit / um zu 하기 위해
während / solange 하는 동안 / 하는 한에서
bevor 하기 전에
nachdem 한 후에
sobald 하자마자
falls 의 경우에
indem ~ 함으로써
seit(dem) ~ 한 이래로
bis ~ 할 때 까지
의문사 (W Fragen) 간접 의문문으로 활용시

3. 도치 접속사 (Konjunktionen mit Inversion)

도치 접속사는 문장을 도입하면서 주어와 동사의 위치를 바꾼다. 주로 문장을 강조하거나 특정한 조건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darum / deshalb / deswegen / infolgedessen 그래서
trotzdem 그럼에도 불구하고
dann 그때
also 그래서, 그러므로
folglich 따라서
stattdessen 그 대신에
davor 그 전에
danach 그 후에
jedoch 그러나
daher 그러므로
seitdem 그 이래로
dagegen 그 반면에
außerdem 그외에
allerdings 다만

 

 

4. 형태가 정해져 있는 접속사 

 

kein / nicht A, sondern B A가 아니고 B다.
nicht nur A, sondern ~ auch B A 뿐만 아니라 B다.
sowohl A..  als auch B A, B 둘다
entweder A oder B A나 B 둘 중하나
zwar A, aber B  A이긴 하지만 B하다

 

 

5.  혼동되는 것들! 

1) um zu와 damit의 차이

um zu (무엇을 하기 위해서)

  • 용법: um zu는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주절과 종속절의 주어가 동일할 때 사용. 뒤에는 부정사가 옴.
  • 구조: um + 부정사 (zu + 동사원형)

예문:

  • Ich lerne Deutsch, um in Deutschland zu studieren.
    (나는 독일에서 공부하기 위해 독일어를 배운다.)
    → 주절과 종속절의 주어가 동일합니다. 모두 Ich.

"damit" (무엇을 하기 위해서)

  • 용법: "damit" 역시 목적을 나타내지만, 주절과 종속절의 주어가 다를 때 사용. 동사는 종속절 끝으로!
  • 구조: damit + 주어 + 동사

예문:

  • Ich lerne Deutsch, damit meine Eltern stolz auf mich sind.
    (나는 부모님이 나를 자랑스러워하도록 독일어를 배운다.)

2) obwohl과 trozdem의 차이

obwohl (비록 ~에도 불구하고)

  • 용법: **"obwohl"**는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종속절을 도입. 종속절의 동사는 문장 끝으로!
    "~에도 불구하고"의 의미.
  • 구조: obwohl + 주어 + 동사

예문:

  • Obwohl er müde ist, geht er zur Arbeit.
    (그는 피곤함에도 불구하고 일하러 간다.)
    → "그가 피곤함에도 불구하고"라는 반대 상황을 나타냅니다.

"trotzdem" (그럼에도 불구하고)

  • 용법: trotzdem은 부사로, 주절과 주절을 연결. 이때 동사는 두 번째 위치에 위치하며, 도치 구조를 유발.
  • 구조: trotzdem + 동사 + 주어

예문:

  • Er ist müde, trotzdem geht er zur Arbeit.
    (그는 피곤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하러 간다.)
    → "그는 피곤하다"라는 사실을 진술한 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일하러 간다는 대조적인 상황을 나타냅니다.

 

728x90